
프로젝트 생성

Video(비디오): 16mm, 35mm는 필름으로 촬영된 영상을 편집,
프레임은 애니메이션을 편집할 때 사용,
현재 디지털카메라, 핸드폰 동영상을 편집하기 때문에 필요 X -> Timcode 설정.
Audio(오디오): 기본값은 Audio Samples 설정한다.
Capture(캡처): 실제 촬영된 카메라에서 영상을 받아올 때 사용되는 것.



파란색으로 표시된: 프로젝트 창
프로젝트 생성된 이름과 프로젝트 내용에 대해서 볼 수 있다.


Project(프로젝트) 패널 : 컴퓨터에서 불러온 동영상, 사진, 음악 등의 미디어 파일이 등록되는 패널입니다.
동영상에 쓰일 미디어 재료를 보관하는 곳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
Effects(효과) 패널 : 비디오 또는 오디오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 목록이 나와 있는 패널입니다.
예를 들어 영상과 영상 사이에 넣는 전환 애니메이션 효과는 여기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.
Timeline(타임라인) 패널 : Project 패널에 있던 미디어를 편집하려면 이곳으로 드래그해 가져옵니다.
Timeline 패널은 편집 작업 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패널입니다.
Tool(도구) 패널 : Timeline 패널에서 각종 미디어를 자르고 붙이는 작업은 거의 마우스로 이루어진다.
그리고 마우스에 할당될 기능은 Tools 패널에서 각종 도구를 선택해 바꿀 수 있습니다.
Tools 패널의 도구를 모두 써야만 작업을 잘하는 것은 아니다.
Program(프로그램) 패널 : 현재 편집 중인 영상을 보는 패널입니다.
타임라인의 타임 바가 위치한 곳을 기준으로 현재 영상의 편집된 상태를 보여줍니다.
필요에 따라 선택된 클립의 위치나 각도, 크기 등을 여기서 직접 수정할 수 있습니다.
Effect Controls(효과 컨트롤) 패널 : Effects 패널에서 지정한 효과를 세부 조정하는 패널입니다.
여기서는 애니메이션 추가, 영상의 위치나 크기 변경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.
프로젝트 저장하기


프로젝트 불러오기


동영상 삽입 Import (파일 가져오기)

◎ 파일을 클릭하여 가져오기(I) Import를 하여 편집될 동영상을 가지고 옵니다.

프로젝트 닫기

가져온 프로젝트 설정 리스트(목록) 형식 및 아이콘(View) 형식
◎ 리스트 형식(목록)

◎ 뷰 View형식 (아이콘)


◎ 마우스 커서를 올려서 마우스를 움직여 동영상을 미리보기로 확인할 수 있다.

◎ 이미지 상자를 클릭하여 미리 보기 동영상의 크기를 늘리거나 축소할 수 있다.

시퀀스 만들기
프로젝트(Project) 패널에서 새 항목(New Item) -> 시퀀스(Sequence)를 선택합니다

◎ New Sequence 대화 상자가 나타납니다. 여기서 새 시퀀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
해상도와 프레임 레이트 같은 기본적인 영상의 규격을 지정해주면 됩니다.

시퀀스 사전 설정 (Sequence Presets) 탭을 선택합니다. 프리셋(Preset)은 여러 해상도와 프레임 레이트가 미리 설정된 규격입니다.
유튜브나 페이스북 등 인터넷에 올리는 영상이 곧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규격이므로 원본 영상 세팅에 가까운 것을 찾아서
선택하면 됩니다. 우선 빠른 제작을 위해서 가장 많이 쓰이는 규격으로 선택한다.
[AVailable Presets] 목록에서 [ARRI]-[1080]-[ARRI 1080p 30]을 선택합니다.

[ARRI]-[1080p]-[ARRI 1080p 30] 또는 [Digital SLR]-[1080p]-[DSLR 1080p 30] 프리셋은
현재 인터넷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규격으로 설정되어있다.
만약 24 fps 영상을 만들고 싶다면 마지막에 24가 적힌 프리셋을 선택하면 된다.
프리셋 이름은 규격-해상도-프레임 레이트 순서로 되어 있다.

시퀀스 생성

◎ 프로젝트의 영상을 더블클릭하면 영상이 나타난다.

◎ 동영상을 재생하고 , 재생되는 부분 확인할 수 있는 동영상 위치 커서

◎ 현재 재생 시간 위치 그리고 마지막 동영상의 풀타임 시간

L:재생 (연속 누를 경우 속도업) 1배속 ~ 32배속까지
K:일시정지
J:역방향 재생 (연속 누를 경우 속도업)
◎ 타임라인으로 영상을 가져다 놓고 확인할 수 있다.
동영상을 Timeline(타임라인) 패널로 가져오기.

어떤 경우 이런 메시지 박스가 나타납니다.
시퀀스의 규격이 가져오려는 동영상의 규격이 다른 상태 시퀀스 설정을 유지할 것인지 묻는 것입니다.
프레임 레이트와 시퀀스가 서로 달라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.
'기존 설정 유지'[Keep existing settings]를 클릭합니다.


L:재생 (연속 누를 경우 속도업) 1배속 ~ 32배속까지
K:일시정지
J:역방향 재생 (연속 누를 경우 속도업)
◎ 영상과 플레이어 헤드를 아이콘 형식으로 함. (시퀀스)


◎ 클릭하여 Alt + 마우스 휠 위 또는 아래로 사용하여 동영상의 시간 간격을 늘리거나 축소할 수 있다.
(여러 작업을 할 때 한눈에 보기 위해 사용.)


타임 바/타임 인디케이터(Time Bar/Indicator)/플레이 헤드(Play Head)
시간 막대라고도 하고, 이외에 여러 이름이 있지만 여기서는 간단히 타임 바라고 부른다.
타임 바는 시퀀스의 현재 재생 위치를 표시해줍니다.
동영상 플레이어에서도 비슷한 것을 볼 수 있다. (똑같은 용도이다.)
타임 바의 위치를 변경할 때에는 굳이 타임 바를 정확히 드래그할 필요 없이 시간 눈금자(Time Ruler)의 시간대를
단축키 ←, →를 눌러 1 프레임씩 이동시킬 수 있다.

클립(Clip) 동영상을 타임라인에 가져오면 박스가 생성된다.
타임라인에 가져온 미디어 파일들은 모두 이런 박스로 표현되며,
비디오 클립의 경우 동영상의 시간만큼 파란색 박스의 가로길이가 정해집니다.
Timeline 패널 안에서 드래그해 장면의 시간대를 바꿀 수 있고, 위아래로 움직일 수도 있습니다.
이것을 모두 '클립'이라고 부른다.(비디오 클립, 오디오 클립, 이미지 클립, 자막 클립 등.)

트랙 추가하기.
◎ 비디오 트랙 (V1, V2, V3) , 오디오 트랙 (A1, A2, A3)

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트랙 추가(Add Track)를 클릭한다 -> '트랙 추가 상자'가 나타난다.

Add: 추가할 트랙 개수입니다.
Placement: 추가할 트랙을 어디 사이에 놓을 것인지 설정.
(예: [After Video 1]이면 1번 트랙과 2번 트랙 사이에 추가, [Before First Track]이면 1번 트랙으로 추가)합니다.
Track Type: 오디오 트랙의 경우 트랙 규격이 일반 스테레오인지, 모노인지, 5.1 채널인지 설정 가능합니다.
특별한 경우 아니라면 [Standard]로 설정합니다.

◎ 리스트(목록) 형식 - 색상과 아이콘 형식으로 확인 가능. (비디오 트랙과 시퀀스 차이)

◎ 시퀀스 바를 잡아서 올려서 트랙의 크기(높이)를 조정한다.

◎ 클릭 드래그를 하여 시퀀스의 비디오 트랙을 이동할 수 있다.

◎ 각각의 바를 조정하여 크기, 높이를 줄 일 수 있다.

효과 컨트롤 사용하기.
◎ 효과를 클릭하여 이펙트 창을 볼 수 있습니다.

'효과 컨트롤러' 이동하여 효과가 들어간 '속성'을 볼 수 있다.
ex) 동작, 불투명도...

◎ 효과(이펙트) 창을 드래그하여 옮겨 놓는다.

◎ 효과 컨트롤 (이펙트) 창을 가져다 놓아 같이 여러 화면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.

◎ 효과 컨트롤 (이펙트) 창을 높이 또는 넓이를 조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.

'영상 프로그램 > Pr(프리미어 프로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r(프리미어 프로) 영상 편집 기본 단축키. (0) | 2021.08.26 |
---|